전자파 차단 방법
생활이 편리해지는 만큼 전자파에 노출된다.
전자파에 대한 피해가 입증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전자파의 위험에 대한 경고는 계속되고 있다.
세포막을 손상시키고, 암을 유발하고, 신체의 신호 체제를 교란하고,
신체에서 이온, 칼륨을 배출시켜 몸의 균형을 파괴한다고 한다.
때문에 전기장판, 전자렌지 등 피해가 적접적인 제품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지만 피해가 입증되지 않았다고 해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데는 소극적이다.
유해성 논란을 떠나 전자파가 안전하다고 입증되지도 않았으니,
가능한 전자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자파 차단 방법을 알아본다.
1. 전자파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가능한 자제한다.
전기장판은 직접 신체에 접촉된다,
가능한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해야 할 경우는 전기장판 위에 보온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메트리스나 요를 깔고,
취침 전 가능한 전원을 끈다.
2. 전기코드는 전원스위치가 붙은 멀티텝을 사용하고 티비나 컴퓨터 등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끊다.
티비 등 전자제품은 자체 전원만 끄면 잔류 전기가 흐르기 때문이다.
3.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TV 1,5m, 세탁기 1.0m, 전자렌지 2.0m, 노트북 2.0m, 헤어드라이 0.2m
하루 종일 노트북를 다루는 사람들도 많은데, 안전거리 2.0m는 실현 가능성이 불가능 한 것 같다.
꼭 할 일도 없는데 괜시리 노트북은 켜놓고 인터넷 서핑이나 하는 일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4. 건너 방 티비나 컴퓨터 등과도 안전 거리를 유지한다.
전자파는 입자가 아니고 파장이기 때문에 사이에 벽이 있다고 해서 전자파가 차단되지 않는다.
침대 머릿 쪽에 벽이 있고, 건너방 컴퓨터가 침대쪽을 향해 벽에 붙어 있다면,
컴퓨터의 전자파로부터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5. 휴대폰 사용을 가급적 자제한다.
휴대폰의 전자파는 강력할 뿐 아니라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집에서는 되도록 유선 전화를 사용하고,
휴대폰을 사용할 때는 가능한 이어폰을 이용하도록 한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휴대폰 사용을 자제토록 한다.
일부 나라에서는 어린이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고 한다.
전자파는 우리 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일부가 되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주의를 기울이면 조금이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10원짜리 동전이나 선인장, 숯 등은 전자파 차단 효과가 없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