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신화전설

식자우환 뜻과 유래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이 있다.

또는 아는 것이 병이다라는 말도 있다. 이는 식자우환이다.

 

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을 아는 것이 오히려 걱정거리가 된다는 뜻으로,

당나라 시인 소동파의 시구에도 인생이 고달파지는 것은 글자를 알 때부터라 했다 한다.

 

아는 것이 힘이라 하는데 글자를 아는 것이 어째서 근심거리가 될 수 있는가?

 

삼국지에서 제갈공명 이전에 유비의 책사는 서서였다.

서서는 유비의 군사로 있으면서 여러 계략으로 조조를 물리치곤 했다.

그러자 조조의 책사 정욱이 서서를 유비에게서 떼어놓을 계략을 세웠다.

 

 

서서는 효심이 매우 지극했다.

정욱은 이런 서서의 효심을 이용하기로 했다.

 

서서의 어머니 위부인은 학식이 높은 사람으로 서서에게 유비를 섬기라고 말했었다.

이런 내용을 파악한 조조는 위부인의 글씨를 위조하여 거짓 편지를 써서 서서를 자신의 진영으로 오게 하였다.

이에 서서는 유비에게 제걸공명을 천거하고 조조에게 갔다.

 

후에 서서가 거짓 편지에 속아 조조의 진영으로 간 것을 알게 된 위부인은

여자가 글씨를 아는 것이 걱정을 낳게 한 원천이다(女子識字憂患)’라며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서서는 조조에게 가서 관직에는 있었지만 조조를 위해 계략을 쓰지는 안 했다고 한다.